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담배 간접흡연 제로 서울

세상지구 2018. 10. 8. 08:40


담배 간접흡연 제로 서울

흡연자들과 비흡연자들의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금연정책이 확대되면서 금연구역이 늘어났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무분별한 흡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길거리를 나서면 시도 때도 없이 풍겨오는 담배 연기에 숨이 막힌다는 비흡연자와 금연구역이 확대되면서 담배를 피울 수 있는 곳이 적어져 힘들다는 흡연자의 입장이 갈등을 빚고 있는 실정입니다.




 

담배 간접흡연 제로 서울 이란? 실내외 공공장소 금연을 시민문화로 정착하여 간접흡연 피해로부터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사업으로 담배냄새를 다른 신민과 나누지 말과 간접흡연 제로 모두의 노력으로 만들기 위한 사업입니다.







담배 간접흡연 제로 서울 사업은 흡연 규제의 제도적 기반 조성 및 공공장소 금연을 시민문화로 정착하기 위하여 지정 금연구역 확대를 위하여 간접흡연 피해방지조례로 초·중·고등학교 절대정화구역, 가로변 버스정류소, 도시공원(도시자연, 근린, 어린이, 소공원, 체육, 묘지, 문화, 역사, 수변, 생태, 가로공원), 지하철역 입구 10m 이내(흡연 적발 시 10만원의 과태료 부과) 입니다.







담배 간접흡연 제로 서울 만들기 위하여 금연 희망 시민을 지원하고 있는데 25개 자치구 보건소, 세이프 약구(12개구 163개소), 병.의원(동네의원, 치과, 한의원 등 서울 시내 5000여개) 등에서 금연 상담, 금연 클리닉, 금연 캠프, 금연 보조제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흡연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그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이 담배  간접흡연 으로 피해를 주는 것은 문제가 있는 행동이 아닌가 생각하는데 간접흡연은 직접흡연보다도 더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하는데 흡연자들의 인식개선가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은 더욱더 강력한 제제가 필요한 실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상과 같이 담배 간접흡연 제로 서울 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간접흡연 제로 가 되는 날을 위하여!!!!!



댓글